Rocky 9.3 오프라인 리눅스 저장소 생성
/* rocky 9.3버전 오프라인 rocky 리눅스 저장소 생성 */
/* 공식사이트 */
https://rockylinux.org/ko-KR/download
로키 리눅스 Rocky-9.3-x86_64-dvd.iso 파일을 다운 받는다.
dvd 이미지를 다운받아서 이미지를 윈도우에 마운트해서 들어가면 AppStream, BaseOS 폴더가 있다. 이 두개 폴더가 패키지가 들어 있는 폴더다.
이폴더를 오프라인 리눅스 서버에 카피한다.
카피할 폴더를 리눅스에 만든다
mkdir /local-repo
cd /local-repo
여기 폴더에 ftp로 다운받은 dvd에 있는 폴더를 올린다.(AppStream,BaseOS)
[root@0052e15da7b4 local-repo]# ll
total 16
drwxr-xr-x 4 root root 4096 4월 15 10:26 .
drwxr-xr-x 1 root root 4096 4월 15 11:03 ..
drwxr-xr-x 4 root root 4096 4월 15 10:25 AppStream
drwxr-xr-x 4 root root 4096 4월 15 10:26 BaseOS
[root@0052e15da7b4 local-repo]#
/* 로컬저장소를 인식할수 있게 설정한다. */
cd /etc/yum.repos.d
/* 이동후 거기에 있는 파일들은 백업을 해둔다. 온라인 저장소에서 받아오는 파일들이다. 로컬저장소에서만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 저장소 설정 파일은 백업폴더로 이동한다. */
mkdir ./backup
mv *.repo ./backup
/* 로컬저장소 파일을 생성한다. */
vi local.repo
[local-BaseOS]
name=Rocky Linux 9.3 - BaseOS
baseurl=file:///local-repo/BaseOS
enabled=1
gpgcheck=0
[local-AppStream]
name=Rocky Linux 9.3 - AppStream
baseurl=file:///local-repo/AppStream
enabled=1
gpgcheck=0
/* 리포 등록후 반드시 캐시 초기화 및 생성 */
dnf clean all
dnf makecache
/* 저장소가 정상 등록 되었는지 확인 */
dnf repolist
/* 출력 예시 */
[root@0052e15da7b4 yum.repos.d]# dnf repolist
repo id repo name
local-AppStream Rocky Linux 9.3 - AppStream
local-BaseOS Rocky Linux 9.3 - BaseOS
/* 로컬저장소가 구축되었으면 인터넷이 안돼도 오프라인에서 설치가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