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리눅스인 게시물 표시

Claude Code 설치 방법

이미지
Claude Code 설치 방법 사전 준비 사항 Node.js ≥ v18 필요  npm 설치되어 있어야 함 sudo apt install -y git (git 설치 필요시) Anthropic 계정 + API 키 또는 로그인 인증 가능해야 함 설치 명령어 npm install -g @anthropic-ai/claude-code 설치 후 버전 확인: claude --version 인증 설정 인증 첫 실행 claude claude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열립니다.   그냥 디폴트 1번     1번 브라우저 인증 2번 api 인증 1번 선택하면 브라우저 창이 뜨고 인증을 하면 가입한 요금제에 따라서 사용량이 정해짐 2번은 api키 발급받아서 api 요금 체계에 따라서 과금 2번은 요금이 많이 나오니까 1번 선택해서 인증후 사용

nvm (Node Version Manager) 패키지 관리자 설치

nvm 설치 (0.40.3 버전) # node 패키지 관리자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40.3/install.sh | bash or wget -q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40.3/install.sh | bash 설치가 끝나면 쉘환경 다시 로드 # bash 사용자 source ~/.bashrc # zsh 사용자 source ~/.zshrc 설치 확인 nvm --version node 설치 nvm install <버전>     # 특정 Node.js 버전 설치 (예: nvm install 18) nvm install --lts       # 최신 LTS(Long Term Support) 버전 설치 nvm install node        # 최신 안정(stable) 버전 설치 /* node.js 설치 버전 체인지 */ nvm use <버전>         # 해당 버전으로 Node.js 환경 전환 nvm use default         # 기본 버전으로 전환 node 버전 관리 nvm list                # 설치된 Node.js 버전 목록 확인 nvm ls                  # 위와 동일 nvm ls-remote           # 설치 가능한 모든 버전 확인 nvm ls-remote --lts     #...

허깅페이스 gguf 파일 Modelfile 생성

Modelfile 제작방법 1. 최초에 모델파일을 모르기 때문에 처음에는 Hugging Face GGUF나 기본 모델은 먼저 올리마에 실행후 모델파일 추출 ollama run hf.co/{user}/{repo}:Q4_K_M 2. 기본 설정 추출 ollama show <모델명> --modelfile 명령으로 “Base Modelfile”을 뽑습니다. → 여기엔 FROM , PARAMETER , TEMPLATE , SYSTEM 같은 값이 다 포함돼 있어요. 3. 커스텀  Modelfile 제작 -  기본 설정을 텍스트로 추출 ollama show hf.co/{user}/{repo}:Q4_K_M --modelfile > Base.Modelfile ollama show hf.co/{user}/{repo}:Q4_K_M --parameters   # 참고용 ollama show hf.co/{user}/{repo}:Q4_K_M --template     # 참고용 필요한 부분만 수정해서 내 Modelfile 제작 뽑아온 Base Modelfile을 복사/수정해서 num_ctx (컨텍스트 길이) temperature , top_p , top_k stop 토큰 system 메시지 같은 부분을 원하는 대로 바꾸면 됩니다. # (PARAMETER num_ctx, temperature, stop 토큰 등) vi Modelfile 4) 커스텀 모델 빌드 & 실행 ollama create mymodel -f ./Modelfile ollama run mymodel Modelfile 잘못 설정시 무한반복, 동일문장 재생산 오류 대처법 왜 문제가 생기나? stop 토큰 설정 누락/오류 PARAMETER stop [...] 를 잘못 지정하면 모델이 멈출 지점을 못 찾아 무한 반복합니다. template 문제 TEMPLATE에서 role/use...

우분투24.04 리눅스 kvm 가상화 설치

우분투24.04 리눅스 kvm 가상화 설치 /* 리눅스 가상화 설치 */ KVM (Kernel-based Virtual Machine): 리눅스 커널에 내장된 가상화 기술입니다. 호스트(리눅스) 시스템과 긴밀하게 통합되어 성능이 가장 뛰어나지만, 설정 및 관리가 다소 복잡하여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KVM은 일반적으로 virt-manager와 같은 GUI 도구를 함께 사용합니다. 1단계: CPU 가상화 지원 여부 확인 KVM을 설치하기 전에 시스템의 CPU가 가상화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lscpu | grep -E 'vmx|svm' vmx: Intel CPU가 가상화를 지원하면 이 결과가 나타납니다. svm: AMD CPU가 가상화를 지원하면 이 결과가 나타납니다. 만약 아무런 결과도 나오지 않는다면, BIOS/UEFI 설정에서 가상화 기능(Intel VT-x 또는 AMD-V)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최신 컴퓨터에서는 이 기능이 기본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2단계: KVM 및 관련 도구 설치 가상화 기능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했다면, 이제 KVM과 가상 머신 관리에 필요한 도구들을 설치합니다. virt-manager는 KVM을 사용하기 위한 GUI 도구로, 가장 편리하게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qemu-kvm libvirt-daemon-system virt-manager qemu-kvm: KVM을 사용하기 위한 가상화 도구입니다. libvirt-daemon-system: 가상 머신을 관리하는 데몬입니다. virt-manager: 가상 머신을 그래픽 환경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GUI 애플리케이션입니다. 3단계: 사용자 권한 설정 sudo 없이 KVM을 사용하려면 현재 사용자를 libvirt 그룹에 추가해야 합니다. sudo usermod -aG libvirt $USE...

우분투 24.04 가상 KVM 브릿지 설정(윈도우11)

우분투 24.04 KVM 브릿지 설정 /*가상 vm host와 동일한 아이피 대역 설정 */ cd /etc/netplan /*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 ip a  /* 빈파일 하나 생성후 물리적 인터페이스 주소로 파일 생성 */ sudo nano /etc/netplan/00-bridge.yaml network:   version: 2   ethernets:     enp129s0:       dhcp4: false       dhcp6: false   bridges:     br0:       interfaces: [enp129s0]       addresses:         - 192.168.12.17/24       routes:         - to: default           via: 192.168.12.1       nameservers:         addresses: [203.248.252.2, 164.174.101.2]       parameters:         stp: false         forward-delay: 0          /* 파일 저장후 적용 */      sudo chmod 600 /etc/netplan/01-network-manager-all.yaml   sudo chmod 600 /etc/netplan/00-bridge.yaml ...

Rocky 9.3 오프라인 리눅스 저장소 생성

 /* rocky 9.3버전 오프라인 rocky 리눅스 저장소 생성 */ /* 공식사이트 */ https://rockylinux.org/ko-KR/download 로키 리눅스 Rocky-9.3-x86_64-dvd.iso 파일을 다운 받는다. dvd 이미지를 다운받아서 이미지를 윈도우에 마운트해서 들어가면 AppStream, BaseOS 폴더가 있다. 이 두개 폴더가 패키지가 들어 있는 폴더다. 이폴더를 오프라인 리눅스 서버에 카피한다. 카피할 폴더를 리눅스에 만든다 mkdir /local-repo cd /local-repo 여기 폴더에 ftp로 다운받은 dvd에 있는 폴더를 올린다.(AppStream,BaseOS) [root@0052e15da7b4 local-repo]# ll total 16 drwxr-xr-x 4 root root 4096  4월 15 10:26 . drwxr-xr-x 1 root root 4096  4월 15 11:03 .. drwxr-xr-x 4 root root 4096  4월 15 10:25 AppStream drwxr-xr-x 4 root root 4096  4월 15 10:26 BaseOS [root@0052e15da7b4 local-repo]# /* 로컬저장소를 인식할수 있게 설정한다. */ cd /etc/yum.repos.d /* 이동후 거기에 있는 파일들은 백업을 해둔다. 온라인 저장소에서 받아오는 파일들이다. 로컬저장소에서만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 저장소 설정 파일은 백업폴더로 이동한다. */ mkdir ./backup mv *.repo ./backup /* 로컬저장소 파일을 생성한다. */ vi local.repo [local-BaseOS] name=Rocky Linux 9.3 - BaseOS baseurl=file:///local-repo/BaseOS enabled=1 gpgcheck=0 [local-AppStream] name=Rocky Linux 9.3 - AppStre...

아파치서버설치 (modcluster) 적용 및 Wildfly 서버 이중화 구성 방법

이미지
 /* 아파치 서버 2대 + Wildfly 서버 2대 2중화 구성 방법 */ 🗺️ 네트워크 구성도 (Architecture Overview)            /* 서버 운영제제  Rocky Linux 9.3 */  /* 아파치 서버 설치 버전 apache-2.4.63 */ 🧱 1. 사전 준비 🔹 필수 패키지 설치 dnf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y dnf install gcc gcc-c++ make cmake autoconf pcre pcre-devel openssl-devel expat-devel wget net-tools apr-devel apr-util-devel libxml2-devel -y mod_http2 , mod_ssl , mod_deflate , mod_proxy , mod_security , mod_cluster 등을 컴파일할 때 필요 📥 2. Apache 소스 다운로드 및 컴파일 🔹 Apache 2.4.63 + APR, APR-util 다운로드 1. 아파치 소스 리눅스에서 직접 다운로드 설치 cd /usr/local/src  wget https://downloads.apache.org/httpd/httpd-2.4.63.tar.gz 압축해제 tar -xvf httpd-2.4.63.tar.gz //2. apr 다운로드 wget https://downloads.apache.org/apr/apr-1.7.5.tar.gz 압축을 푼다 tar -xvf apr-1.7.5.tar.gz //3. apr-util 다운로드 wget https://downloads.apache.org/apr/apr-util-1.6.3.tar.gz tar -xvf apr-util-1.6.3.tar.gz /* 압축해제한 파일들을 apache소스의 srclib폴더로 이동한다. */ mv apr-1.7.5 httpd-2.4.63...

리눅스 NFS 디렉토리 공유 설정

 /* 리눅스 NFS 디렉토리 공유 설정 */ 1. 서버설정 스크립트( nfs_server.sh) #!/bin/bash # 공유할 디렉토리 경로 SHARE_DIR="/data" # NFS 패키지 설치 dnf install -y nfs-utils # 공유 디렉토리 생성 및 권한 설정 mkdir -p $SHARE_DIR chown nobody:nobody $SHARE_DIR chmod 777 $SHARE_DIR # NFS 설정 파일 수정 echo "$SHARE_DIR *(rw,sync,no_root_squash,no_subtree_check)" | tee -a /etc/exports # rw: 읽기/쓰기 가능 # sync: 데이터 쓰기 요청을 디스크에 동기화 # no_root_squash: 클라이언트의 root 계정을 서버에서도 root로 인정 # no_subtree_check: 하위 디렉토리 경로 검사 생략 # NFS 서비스 시작 및 활성화 systemctl enable --now nfs-server # 방화벽 설정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nfs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mountd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rpc-bind # firewall-cmd --reload echo "NFS 서버 설정 완료: $SHARE_DIR" # 서버에서 공유목록 확인 # exportfs -v ======================================================= 2. 클라이언트 설정 스크립트 (nfs_client.sh) #!/bin/bash # 서버 IP 및 공유 경로 SERVER_IP="172.17.0.2"  SERVER_SHARE="/data" MOUNT_POINT="/data" # NFS 패키지 설...